[뉴스핫라인]이제 수소경제다. 환경도 살리고 경제도 성장시키는 1석 2조 수소경제 ②

'세계 최고 수준' 물적 기반과 기술력 보유한 한국
시장 규모 확대 위한 수요창출 및 경제성 확보 필요

  • 기사입력 2019.05.18 22:23
  • 최종수정 2019.05.23 16:45
  • 기자명 이의정 기자
문재인대통령이 울산 현대자동차를 방문하여 수소차생산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사진출처=청와대)
문재인대통령이 울산 현대자동차를 방문하여 수소차생산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사진출처=청와대)

정부의 ‘수소경제활성화로드맵’이 발표되면서 수소경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수소경제란 친환경적인 수소를 주 연료로 하는 미래의 경제를 일컫는다. 2002년 경제학자이자 미래학자인 리프킨의 저서 ‘수소경제 The Hydrogen Economy’에서 처음 등장한 용어다.

리프킨은 “앞으로는 석탄 생산이 줄어들고 새로운 대체 에너지를 필요로 할 텐데 수소가 그 에너지원이 될 것”이라며 “우주질량의 75%를 차지하고 있고 구하기 쉽고 고갈되지 않으며 공해도 없다”고 수소의 장점을 언급했다. 때문에 수소가 경제 및 사회전반, 국민생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렇다면 수소경제는 어떠한 분야에 영향을 줄 수 있을까

우선 경제적인 측면에서 새로운 산업생태계를 조성시킬 수 있다. 수소를 활용한 대표적 산업으로는 수소전기차를 중심으로 한 수송 분야를 꼽을 수 있다. 수소승용차에서부터 열차, 선박, 드론, 건설기계 등 수소 활용이 가능한 모든 운송 분야에 새로운 산업생태계를 구축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수소를 활용한 산업은 다양한 산업과 연계해 상당한 부가가치와 고용창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정부의 로드맵이 순조롭게 진행된다고 가정할 경우, 2040년에는 수소경제로 인해 연간 43조의 부가가치가 창출되고 42만개의 일자리도 새롭게 만들어진다.

에너지 측면에서 수소를 활용할 경우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고 미세먼지를 저감할 수 있다. 이에 수소경제는 깨끗하고 안전한 청정사회를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를 수치로 환산하면 500MW급 석탄 발전 9기의 배출량에 해당하는 약 2728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줄이고 2015년 도로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배출량의 6.1%에 해당하는 2373 톤이 감축될 것으로 추정한다.

이낙연 국무총리가 전주 현대자동차 공장을 방문하여 수소버스에 탑승하고 있다(사진출처=국무조정실)
이낙연 국무총리가 전주 현대자동차 공장을 방문하여 수소버스에 탑승하고 있다(사진출처=국무조정실)

그렇다면 한국은 수소경제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어 있는가? 답은 '그렇다' 이다.

우선 한국은 세계적으로 둘러봐도 수소경제의 물적 기반이 비교적 잘 갖춰져 있는 나라다. 현재 대규모 석유화학단지(울산·여수·대산)를 중심으로 한 수소파이프라인과 고순도 수소생산 기술이 확보되어 있으며 이미 연간 약 164만 톤 정도의 수소가 생산, 유통, 활용되고 있다. 이미 수소공급에 필요한 석유화학 및 플랜트 산업기반과 경험이 풍부해서 수소 수요와 경제성이 확보된다면 설비증설, 공정전환 등을 통해 대규모 부생수소공급이 가능하다.

더구나 LNG 공급망을 이용한다면 추가적인 인프라 없이도 쉽게 안정적이며 경제적인 수소생산 및 공급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수소 활용산업도 이미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가지고 있다. 수소전기차의 경우 2013년에 세계 최초 양산에 성공했고 세계 최장 주행거리를 가진 일반보급형 모델이 2018년 출시됐다. 연료전지 부문에서도 원천기술을 보유한 국내외 기업과의 제휴 및 M&A를 통해 최고수준의 기술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 국내 수소경제의 시장은 미흡한 점도 많다. 수소전기차의 높은 가격과 대중교통 상용화의 어려움, 충전인프라의 부족 등으로 수소차의 대중화까지는 아직 갈 길이 먼 상황이다.

더불어 연료전지의 높은 설치비와 연료비는 시장을 활성화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많다.

이런 어려움들을 극복하려면 적극적인 수요창출이 필요하고 경제성 확보가 수반되어야 한다.

또한 정책적인 지원과 법적 규제 완화도 필요한데 이것을 위해 문재인 정부가 수소경제활성화로드맵이 만든 것이다.

환경도 살리고 경제도 성장시키는 수소경제가 자리 잡기 위해 수소경제활성화로드맵이 마중물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환경경찰뉴스 이의정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