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만 신용불량자 26만 명 이상 늘어

고령층, 중산층 신규 신용불량자 늘어...경제 비상
경기침체, 일자리 부족으로 신용회복도 기대 못해

  • 기사입력 2019.11.09 10:41
  • 최종수정 2019.11.10 23:19
  • 기자명 이의정 기자
(사진출처=픽사베이)
(사진출처=픽사베이)

경기 침체가 지속되면서 신용불량자(금융채무 불이행자)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대출자 신용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은행권에서만 신용불량자가 30% 가까이 증가해 중산층까지 연체의 늪에 빠지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김선동 자유한국당 의원이 제시한 금융감독원의 시중은행 및 저축은행 등 연체자료(대출금 100만원이상, 3개월 이상)에 따르면 올 들어 9월 말까지 신용불량자가 26만 6059명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해 말에 비해 7.6%나 증가했다.

특히 은행권에서 28.8% 늘어 가장 큰 증가율을 보였다. 금융업 관계자는 "신용도가 나쁘지 않아 은행권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신용불량자가 됐다는 것은 경제 상황에 큰 문제가 생긴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우려했다.

금융권에선 당국의 통계에 잡히지 않는 불법 사금융 연체자를 포함하면 실질적인 신용불량자는 이보다 더 많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신용정보원은 대출금 100만 원 이상을 3개월 이상 못 갚는 대출자의 연체 기록을 등록하는데 금융권에서는 이들을 신용불량자로 부른다.

이들 신규 연체자는 70대 이상(24.7%)과 60대(24.3%)에서 가장 많이 늘었다. 고령층의 신용불량자 증가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노후 준비가 안 된 베이비부머(1955∼1963년생) 은퇴자들이 현업에서 밀려나며 생활고를 겪는 것으로 분석된다.

일각에서는 올해 은행을 중심으로 대출 규제가 강화되자 ‘빚 돌려 막기’가 어려워진 사람들이 신용불량자로 전락했다는 분석도 있다. 대출 규제로 부동산 가격을 잡으려다가 오히려 연체가 늘었다는 것이다.

문제는 이들 고령의 신용불량자들이 빚 갚기가 점점 힘들어 진다는 것이다. 경기불황으로 일자리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들은 비정규직이나 일용직으로 빚을 갚기는 커녕 생활도 힘들어지고 있다. 

금융계 전문가들은 “정부가 급전이 필요한 서민들의 채무 조정을 돕는 데만 그치지 말고 이들의 소득이 근본적으로 늘어나도록 일자리 대책을 더 적극적으로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환경경찰뉴스 이의정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