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농업으로 청년 귀촌 늘리고 과학영농 실현한다

농촌진흥청, 디지털농업 촉진 기본계획 발표
스마트팜 등 데이터 기반 디지털 농업기술 개발

  • 기사입력 2021.03.24 09:14
  • 기자명 조희경 기자
(사진=농촌진흥청)
(사진=농촌진흥청)

청년들의 귀촌을 늘리고 지속가능한 농업·농촌 조성을 위해 디지털농업 기술개발을 골자로 한 기본계획이 마련된다. 농촌진흥청은 23일 데이터(자료)를 기반으로 과학영농을 실현하는 ‘디지털농업 촉진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디지털농업 기본계획은 ‘디지털농업 기술개발로 농업의 생산성 향상과 편리성 및 환경성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청년이 돌아오는 농촌, 지속가능한 농업·농촌을 만들기 위해 스마트팜 등 시설농업의 디지털 혁신 경험을 노지와 축산분야로 확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올해부터 2025년까지 5개년 계획으로 추진되는 디지털농업 기본계획은 3대 분야 10대 과제로 구성되어 있다. 3대 분야는 ▲농업기술 데이터 생태계 구축 ▲농업생산기술의 디지털 혁신 ▲유통, 소비, 정책을 지원하는 디지털 농업기술이다.

농촌진흥청은 첫째, 농업기술 데이터 생태계 구축과 관련해 자체 보유한 농업 데이터를 전면 개방, 공유하고 디지털농업 생태계를 활성화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농업현장의 생육·환경·기상 및 수량·품질 데이터와 연구실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폭넓게 수집하고 ‘농업 R&D 데이터 플랫폼’을 통해 서비스할 예정이다.

또 농업기술 데이터를 활용한 민간의 기술창업을 지원하고 유관 기관과의 협력체계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올해 농축산분야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8개 분야 12종(농작물,병해충 이미지 등)을 구축하고 공공데이터 개방도 대폭 확대한다.

농업생산 기술의 디지털 혁신을 위해 농업 자동화·지능화 기술을 개발하고 수익성 높은 디지털농업을 구현한다. 곡물 생산 기술과 관련해 드론, 자율주행 등 자동화 기술 개발로 노동력을 절감하고 생육단계별 최적 환경관리 기술을 개발한다.

원예 분야에서는 노지에 민감한 채소의 수급 불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위성, 드론 등을 활용한 재배면적 및 작황 조기 예측 기술을 개발해 수급안정을 지원할 계획이다.

축산 분야에서는 센서, 영상 데이터 분석으로 정밀 사양체계를 구축해 생산성을 향상하고, 가축질병을 예방하는 기술개발을 추진한다.

디지털 기술로 정책을 지원하여 공익직불제 안착과 농촌정주기반 확충을 통한 지역 소멸 방지도 추진할 방침이다.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귀농·귀촌 정착 지원과 농촌 3.6.5 생활권 데이터 구축으로 농촌의 정주 기반을 확충해 농촌으로 인구의 유입을 촉진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다.

농촌진흥청 디지털농업추진단 조용빈 단장은 “디지털농업은 기후변화, 영세한 농지규모, 농업인의 고령화 등을 극복할 수 있는 기술농업 시대를 여는 원동력이 될 것”이라며, “농업의 디지털 혁신과정에서 농산업 전·후방 산업의 동반성장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밝혔다.

환경경찰뉴스 조희경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