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옥동 신한은행장 내정자 비자금 조성 연루…위성호·이백순 전직 행장 전철밟나

‘신한사태’ 연루로 이백순, 위성호 전직 신한은행장 줄줄이 ‘OUT’
과거사위, 신한사태 경영진 봐주기 재수사 권고… ‘타격’예상

  • 기사입력 2019.01.26 22:29
  • 최종수정 2019.01.26 23:21
  • 기자명 공성종 기자
진옥동 신한은행장 내정자(사진=신한금융)
진옥동 신한은행장 내정자(사진=신한금융)

 

위성호를 ‘아웃’시키고 신한은행장에 오르는 진옥동 내정자는 ‘신한사태’ 때 이백순 전 행장을 도와 비자금 창구 역할을 한 사실이 알려지며 자격 논란이 일고 있다.

신한사태를 향한 검찰의 재수사가 일촉즉발 예고되는 상황에서 진 내정자의 자격 논란은 바람 앞에 선 촛불과도 같아 보인다.

진 내정자의 자격 논란은 시사저널과 일요신문에 연달아 보도되며 논란은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있다.

24일 시사저널은 이 전 행장 사건 증인으로 나섰던 공판조서와 검찰 진술서 등을 단독 입수해 보도했다.

매체가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진 내정자는 SBJ(신한은행 일본현지법인) 오사카지점장으로 근무하던 2010년 10월23일 서울중앙지검에 출석해 스스로 범죄에 가담했음을 자백했다.

검찰 진술에서 진 내정자는 “2009년 4월경 이백순 행장은 자신이 소개한 재일교포 주주인 김아무개를 직접 만나 5억 원이 든 통장과 도장 1개를 전달 받았다”고 진술했다.

이 자리를 주선하기에 앞서 진 내정자는 2009년 3월 28일 재일교포 주주인 김 아무개를 먼저 만났으며 이 자리에서 이 전 행장의 요청사항인 “한국 측에서 도와줬으면 한다”는 내용을 대신 전했다.

이에 재일교포 주주인 김아무개는 진 내정자 도움 요청에 화답했고, 이 전 행장을 직접 만나 5억 원이 든 통장과 도장을 준비해 건넸다.

진 내정자는 이 전 행장이 건네받은 돈이 비자금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고 진술했다.

검찰 진술에서 진 내정자는 이 전 행장이 재일교포 주주로부터 받은 5억 원에 대해 “순수한 기탁금으로 쓰라고 준 것은 아니다”며 “은행장(개인)이 사용할 수 있는 ‘부외자금(장부 상 기록되지 않는 비자금)’을 만들어 달라는 뜻이다”고 말했다.

이에 이 전 행장의 사건을 맡은 서울고등법원은 진 내정자의 일관된 진술이 근거 있는 주장이라고 판단하고, 이 전 행장에게 징역 1년 6개월에 집행유예 2년의 유죄를 선고 판결을 내렸다.

이 같은 사실이 금융계 안팎으로 전해지며 과거 이 전 행장 행위에 진 내정자가 같이 공조해 진행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지난해 금융감독원이 이 전 행장의 법원 판결을 받아 신한은행 제재한 내용에는 “이 전 행장이 신한은행장으로 내정된 직후 당시 일본 오사카지점장이었던 진옥동에게 비자금을 구해 오도록 지시했다”고 보고됐다.

돈 받은 이 전 행장이나 받게 도와준 진 내정자나 서로 내통하거나, 최소한 사건을 ‘방조’했을 가능성이 제기되며 의혹은 눈덩이처럼 커져만 간다.

(출처=신한은행)
(출처=신한은행)

 

복마전 내홍 겪은 신한금융지주…“檢 칼끝이 서슬 퍼렇다”

진 내정자를 향한 검찰의 칼끝이 서슬 퍼렇다. 신한사태 때 진 내정자가 어느 정도 깊이 있게 연루됐는지 가늠할 수 없는 정도다. 그러나 이 전 행장의 일을 도와 비자금 조달 창구역할을 한 사실이 알려지며 검찰이 신한사태를 재수사하고 나선다면, 진 내정자에 대한 수사도 다시 이뤄질 것으로 점쳐진다.

지난 16일 법무부 검찰과거조사위원회(이하 과거사위)는 신한 사태로 촉발된 ‘남산 3억 원’사건은 검찰의 ‘봐주기 수사’와 ‘편파 수사’라고 결론지었다.

과거사위는 ‘신한사태’로 촉발된 ‘남산 3억 원’사건 의혹 해소를 위해 기획성 고소를 주도한 신한금융 전·현직 임직원의 조직적 위증 및 남산 3억 원 사건은 엄정한 수사를 통해 진상을 규명하도록 검찰에 권고하고 나선 상태다.

또한 과거사위는 “남산 3억 원 사건은 검찰 조사과정에서 정권 실세에게 3억 원이 전달됐다는 의혹 제기가 있었지만, 이를 확인하기 위한 압수수색을 제대로 하지 않았다”며 “형식적 조사 끝에 면죄부를 주는 수사미진 사항이 발견됐다”고 지적했다.

검찰권 남용사례로 지적된 ‘신한사태’는 2010년 라 전 회장이 ‘2인자’ 신 전 사장을 몰아내기 위해 이백순 전 행장 등으로부터 회삿돈 15억 6600만 원을 받아 횡령한 혐의로 고소하며 촉발됐다.

‘신한사태’는 신한금융 내 ‘1인 자’와 ‘2인 자’ 손꼽는 라 전 회장과 신 전 사장 간의 경영권 분쟁이 흙탕물 튀기는 싸움으로 번지며 촉발됐다. 신한금융 내 경영권 다툼이 서로를 옭아매는 부메랑이 돼 돌아오며 검찰은 수사를 광범위하게 확대해 ‘남산 3억 원’사건 의혹까지 수사했다.

‘남산 3억원’사건은 2008년 이명박 대통령 취임식 전날 있었던 일로, 라 전 회장이 이 전 행장에게 지시해 2008년 2월 서울 남산자유센터 주차장에서 성명불상자에게 현금 3억 원을 당선축하금을 전달했다는 의혹에서 시작됐다. 하지만 신한사태에 깊이 연루된 라응찬, 이백순, 위성호 등은 신한금융 경영진과 임원들이 대거 검찰에 기소되며 끝내 정권 실세에 대한 조사는 이뤄지지 않았다.

결국, 말 많던 ‘남산 3억원’사건은 검찰이 신한사태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경영진들을 봐주기 수사한 결과, “돈 건넨 이는 있어도 돈 받은 사람은 없다”는 희한한 결론을 내며 사건이 종결됐다.

그러나 결말 없이 끝날줄 알았던 ‘신한사태’는 과거사위에서 검찰권을 남용한 사례로 판단되며 재수사 권고로 ‘남산 3억 원’사건 수사에 검찰이 속도를 내고있다.

환경경찰뉴스 공성종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