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상코인 위믹스 소유와 P2E 게임 지원으로 논란의 중심에 선 김남국 의원

과세유예 공동발의, NFT 기반의 "이재명 대선 펀드" 출시 추진 등
코인 시세에 영향 미치는 활발한 활동으로 '이행충돌' 논란 격화
민주당, 김 의원에게 가상자산 매각 촉구하고 자체 진상조사단 구성

  • 기사입력 2023.05.11 12:42
  • 최종수정 2023.05.12 18:58
  • 기자명 조희경 기자
(사진=김남국 의원 유튜브 채널 영상 갈무리)

 

김남국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수십억 상당의 위믹스(WEMIX) 코인 보유로 논란에 휩싸이면서, 그의 재산내역이 정치권에서 계속 이슈가 되고 있다. 김 의원은 코인을 소지하는 기간 동안 가상자산 과세유예 관련 법안을 발의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P2E(Play-to-Earn) 게임에 대한 규제 완화를 위한 포럼을 개최하고 NFT 기반의 "이재명 대선 펀드" 출시를 추진하는 등 코인 시세에 영향을 주는 활동을 적극 해온 것으로 알려져 비판이 거세게 일고 있다.

21년 12월 김 의원은 전용기 민주당 의원이 대표 발의한 게임산업진흥법 개정안을 공동 발의했는데, 이 법안에는 '게임머니'를 게임 내에서 사용되는 가상화폐로 정의하는 조항이 포함되어 있어 위믹스와 같은 코인에 특혜를 주는 내용이었다. 앞서 그는 같은 해 8월 가상자산 과세를 연기하는 법안(소득세법 개정안)의 공동 발의자로 참여했으며, 이 법안은 유사한 법안으로 대체된 후 결국 국회를 통과했다. 당시 그는 이 법안에 투표를 하지 않았지만 지난해 12월에 발의된 과세연기 재차 연장 법안에 대해서 지지했다. 

그는 제 20대 대통령 선거 기간 동안에도 이재명 선거 운동위원회에서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팀장을 역임하면서 NFT 기반의 "이재명 대선 펀드"를 홍보했다. 그러나 그는 펀드를 발행하면서, NFT기반의 대선 테마코인인 '위믹스'를 소지하고 있었다. 

김 의원은 또한 P2E 게임에 대한 지원으로 유명하며, '위믹스' 코인을 소유한 것도 이 산업과 관련이 있다.

민주당 내에서 NFT 기반의 토큰이 대선 기간 홍보되면서 P2E 개념의 신개념이 부상했다. P2E란, "Play-to-Earn"의 약어로서, 게임을 플레이함으로써 가상화폐나 실제 화폐 등을 벌어들일 수 있는 게임 콘텐츠를 일컫는다. 이에 관련 산업분야에서는 P2E를 적극 활용하는 내용의 블록체인 기술들이 호재로 떠올랐으며  위믹스는 그 중 가장 잘나가는 소위 말하는 '떡상코인' 중 하나였다.

더불어 민주당 김남국 의원이 추진한 NFT기반의 '이재명 대선 펀드'는 재명이네 마을에서 거래소를 만들어 적극 홍보되었다. 김 의원은 이 기간 NFT 테마코인인 위믹스를 보유하고 있었다. (사진=재명이네 마을 게시물 갈무리)

이러한 논란에 대해 민주당 지도부는 김 의원에게 가상자산 매각을 촉구하고 투명하고 신속한 조사를 위해 자체 조사단을 구성했다. 이 팀은 김병기 당사무부총장이 이끌 것이다.

권칠승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은 10일 기자들과 만나서 "코인의 경우 일반인이 이해하기 어려운 내용인 만큼 필요하면 (자체 진상조사팀에) 전문 지식을 가진 외부 전문가가 합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민주당은 이번 진상조사팀 구성 조치와 별도로 향후 가상자산을 공직자 재산 신고에 포함하는 제도 개선을 추진하기로 했다.

권 수석대변인은 자체 진상조사팀을 꾸린 배경에 대해선 "그제까지는 재산 신고 관련 부분 등이 어느 정도 해명이 됐다고 봤지만 (가상자산을) 언제 샀는지, 내부 정보를 이용한 게 아닌지 등 새로운 의혹이 제기됐다"며 "그런 내용을 샅샅이 들여다봐야 한다는 인식이 있었다"고 답변했다.

윤리감찰단이 아닌 별도의 조사팀을 가동하는 데 대해서는 "윤리감찰단은 비위 사실을 조사하게 되는데, 이 건은 복잡한 사실관계를 확인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며 "별도의 분석이 필요하니 그 내용을 자세히 들여다보겠다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돈 봉투 의혹' 사건에선 진상조사를 실시하지 않고, 김 의원의 코인 의혹과 관련해선 진상조사팀을 꾸린 이유를 묻는 질문에는 "'돈 봉투' 건은 (조사 범위를) 특정할 수 없고, 검찰 수사와 직결된 부분이 있다"고 답했다. 이어 "가장 핵심적인 조사 대상자라고 할 만한 사람이 이정근 전 민주당 사무부총장과 강래구 한국감사협회장인데 두 사람은 저희가 조사할 수 없는 상태"라며 "사실상 실효성 있는 조사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덧붙였다.

환경경찰뉴스 조희경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