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핫라인] 이제 수소경제다 ‘수소경제활성화로드맵’으로 본 수소경제의 미래 ①

로드맵 완성으로 본격적인 수소경제 포문열어
2040년까지 청정 교통 인프라 구축

  • 기사입력 2019.05.16 23:56
  • 기자명 이의정 기자
(사진출처=청와대)
(사진출처=청와대)

문재인 정부는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을 20%로 늘린다는 내용의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정부는 지난 해 8월 플랫폼 경제구현을 위한 3대 전략투자 분야로 데이터 블록체인·공유경제·AI와 함께 ‘수소경제’를 선정하고 각 분야별 5개년 로드맵을 마련했다.

지난해 9월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을 위원장으로 하는 ‘수소경제추진위원회’가 만들어지면서 수소생산, 수소저장 및 운송활용, 수송 발전의 4개 분야에 산학연 관련 전문가 100여명이 참가하여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수립하기로 계획을 세웠다. 위원회는 약 3개월간 연구·분석 끝에 구체적인 수소경제에 대한 청사진을 마련했고 마침내 지난 1월 ‘수소경제활성화로드맵’을 완성했다. 이제 수소경제가 본격적으로 열리게 된 것이다.

글로벌 컨설팅 업체 맥킨지가 2017년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2050년 수소 산업은 연간 2조 5000억 달러(약 2800조 원)의 부가가치와 3000만 개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세계 각국은 앞 다퉈 수소경제 육성을 위한 정부 실행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일본은 2011년 발생한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계기로 신생 에너지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일본은 2017년 12월 ‘수소기본전략’을 책정하고 2030년까지 수소전기차 80만대, 수소전기버스 1200대, 수소충전소 900개소, 가정용 연료전지 530만대 등을 보급한다는 내용을 발표했다.

호주는 2018년 8월 수소로드맵을 수립했다. 호주는 풍부한 자원을 활용해 수소를 수출 자원화할 계획이다. 중국도 2017년에 수소이니셔티브 선언을 발표하며 2030년까지 수소전기차 100만대, 수소충전소 1000개소를 보급할 계획이다. 미국도 캘리포니아 주를 중심으로 수소정책을 수립하여 추진 중이다.

한국 정부도 일본, 호주, EU 등 다른 나라들의 정책추진 현황을 참조하여 국내시장의 강점 및 시장 환경 변화, 기술발전 추이 등을 검토해 ‘수소경제활성화로드맵’을 완성했다. 이에 2040년까지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 전략을 추진한다.

‘수소경제활성화로드맵’을 발표하면서 문재인 대통령은 “수소경제는 에너지원을 석탄과 석유에서 수소로 전환하는 산업구조의 혁명적 변화로 국가에너지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바꾸면서 신성장동력까지 마련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고 강조했다.

‘수소경제활성화로드맵’은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수소전기차와 연료전지를 양대축으로 하여 수소경제 선진국으로 도약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2040년 국내수소산업은 연간 43조 원의 부가가치와 42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된다.

수소경제활성화로드맵의 내용을 살펴보면 우선 수소차 누적 생산량을 2018년 2000대에서 2040년 620만대 (내수 290만대, 수출330만대)로 확대하고 세계시장 점유율 1위 달성을 목표로 한다.

(사진출처=환경경찰뉴스)
(사진출처=환경경찰뉴스)

2018년 14개인 수소충전소를 2022년에 310개로 2040년엔 1200개로 확충한다.

(사진출처=환경경찰뉴스)
(사진출처=환경경찰뉴스)

그리고 수소대중교통을 확대한다. 2040년 수소택시를 8만대로 늘이고 수소버스는 4만대, 수소트럭은 3만대 보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에너지 측면에서는 발전용 에너지를 2040년까지 15GW(수출7GW포함) 이상으로 확대하고 수출산업화를 추진한다. 가정건물용 연료전지로 2040년까지 2.1GW(약 94만 가구)를 보급할 계획이다.

(사진출처=환경경찰뉴스)
(사진출처=환경경찰뉴스)
(사진출처=환경경찰뉴스)
(사진출처=환경경찰뉴스)

수소 활용을 수소차 외에 수소선박, 수소열차, 수소건설기계 등으로 확대하고 미래유망품목으로 육성하기로 한다.

이밖에도 그레이 수소에서 그린수소로 수소생산패러다임을 전환하고 안정적이고 경제성있는 수소저장 및 운송체계를 확립한다. 수소산업 생태계 조성 및 전주기 안전관리 체계 확립 등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바야흐로 수소경제 시대가 열렸다. 이번에 발표한 ‘수소경제활성화로드맵’은 대략적인 수소경제를 위한 청사진일 뿐이다. 그러므로 로드맵을 뒷받침할 만한 추진전략과 구체적인 정책지원이 중단없이 마련될 때 수소경제의 청사진은 본격적으로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환경경찰뉴스 이의정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