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희대 박은정 교수 연구팀 논문 발표
살균·소독제 사용시 뿌리지 말고 닦아내야
살균·소독제 사용시 뿌리지 말고 닦아내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살균·소독제가 인체에 해롭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소독제 성분이 공기 중 뿌려져 호흡기로 들어가면 폐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지난 24일 경희대에 따르면 동서의학연구소 박은정 교수 연구팀은 논문 ‘라멜라 구조의 형성이 염화디데실디메틸암모늄(DDAC)으로 인한 독성 반응 개시 인자일 것이다’에 이 같은 사실을 게재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가습기살균제의 주요 성분 중 하나인 DDAC는 인간 기관지 상피세포와 실험용 쥐를 상대로 한 연구에서 세포 생존율을 급격하게 감소시켰고, 세포 내 소기관 손상과 세포 자살, 세포막 손상을 유도했다.
DDAC 500㎍를 1회 투여한 쥐는 14일까지 살았지만, 2회 투여한 쥐에서는 만성 섬유성 폐 병변이 관찰됐고 이후 사망에 이르렀다. DDAC에 노출된 쥐에게는 라멜라 구조체가 형성됐다. 연구팀은 라멜라 구조체가 과도하게 생성될 경우 폐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고 전했다.
연구팀은 분무형 살균·소독제 사용할 때 공기 중에 뿌리지 말고 필요한 곳에만 뿌린 뒤 바로 닦아내 줄 것을 권고했다. 또, 반드시 환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여러 살균 소독제를 혼합해서 사용하는 것도 위험하다고 지적했다.
박 교수는 “살균·소독제를 분무기로 뿌리는 경우 방역 효율도 낮고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줄 수 있다”며, “되도록 뿌리기보다는 사물을 닦아내는 방식으로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고 전했다.
환경경찰뉴스 고명훈 기자
저작권자 © 환경경찰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