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영향으로 지난해 서울시 택배량 27% 급증

공공-민간 빅데이터 융합·분석, 물류정책 실효성 높인다

  • 기사입력 2021.06.23 10:04
  • 기자명 조희경 기자

서울시가 과학행정에 기반해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이 보유한 빅데이터를 융합한 분석 기법을 활용한다. 

서울시는 CJ대한통운의 물동량 데이터와 신한은행 금융데이터를 융합·분석한 결과 지난해 시내 택배 물동량이 전년 대비 26.9% 많아진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이날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이 보유한 빅데이터를 서울시와 서울시립대 도시과학 빅데이터 인공지능(AI) 연구소가 분석한 정책 수립 기초 자료를 공개했다. 데이터는 한국교통안전공단과 CJ올리브네트웍스가 제공했고 신한은행이 데이터융합과 공급을 담당했다.

공공·민간과 협력해 이뤄진 이번 데이터 융합·분석 작업은 △서울시 택배 물동량 분석 △서울시 차량 배출가스 분석 등 2개 분야에서 진행됐다.

(자료=서울시)
(자료=서울시)

분석 결과 지난해 서울시의 온라인 택배 물동량은 전년 대비 26.9%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식품, 생활·건강, 패션의류, 도서·음반, 가구·인테리어, 화장품·미용, 패션잡화, 디지털·가전, 스포츠·레저 등 대부분 항목의 물동량이 증가한 반면 출산‧육아용품은 전년 대비 택배 물동량이 유일하게 감소(-19%)를 보였다. 

증감률로 보면 손소독제와 마스크 등 물품이 포함된 생활·건강 분야 택배 물동량이 52% 늘어나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이어 식품(46%), 가구·인테리어(39%), 도서·음반(31%), 스포츠·레저(29%) 등 순으로 이어졌다.

출산·육아용품은 전년 대비 지난해 택배 물동량이 19% 줄어든 것으로 파악됐다. 연구진은 서울시 출산율이 2019년 0.72명에서 지난해 0.64명으로 10.5% 줄어든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월별 추이를 보면 이른바 ‘마스크 대란’이 일어났던 지난해 2~3월과 코로나19 2차 유행이 발생한 지난해 7~8월 건강용품 물동량이 크게 증가했다. 사회적거리두기 정책(3월, 8월, 12월)이 시행되면서 DIY 자재‧용품 물동량이 증가함도 확인할 수 있었다. 

서울시는 이같은 데이터를 지역별 생활물류 수요를 파악하고 도심물류정책을 수립하는 데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아울러 친환경 차량 전환시 배출가스 감축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사례를 분석해 시내버스‧택시에 대한 친환경차 보조금 모델을 개발했다. 

택시의 경우 일반 차량에 비해 일평균 주행거리가 8배 이상 길었으며 이에 따라 일일 배출가스량도 약 7배 많았다. 연구진은 이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친환경 차량 교체 작업시 영업용 차량을 우선 교체 대상으로 고려하는 것이 배출가스 저감에 효과적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서울시는 이번 분석 결과를 활용해 배출가스 저감효과를 고려한 전기차 보급 정책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이원목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은 “서울시 자체 데이터만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웠던 차량 배출가스, 택배 물동량을 민간과 협업을 통해 정책 개선에 나서게 된 것이 이번 프로젝트의 의의”라며 “앞으로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정책을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환경경찰뉴스 조희경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