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당 의원에게 정치자금 1억6000만원을 주고 1조 6천억 원대 '라임 사태'에서 정치자금법 위반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는 김봉현 전 스타모빌리티 회장의 세 번째 탈옥 계획이 무산됐다.
1심에서 징역 30년을 선고받고 수감 중인 김 전 회장은 구치소 밖으로 나오는 재판과 검찰 조사 기회를 이용해 미리 준비한 차량으로 도주하려 한 계획이 검찰에 적발됐다. 수감 중인 타 수감자에게 '탈옥에 성공하면 20억 원을 줄 것'이라며 도움을 요청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김 전 회장의 탈옥 계획에 친누나가 관여한 것으로도 드러났다. 김 전 회장이 도움을 요청한 수감자의 지인 A 씨를 만나 탈옥에 필요한 착수금 명목으로 1천만 원을 전달했다. 그러나 A 씨의 검찰 신고로 미리 예방되면서 누나는 도주원조 혐의로 체포되었다.
수사당국은 오늘(5일) 김 전 회장이 서울남부구치소에서 서울고등법원으로 이동할 때 호송차량을 탈취하려는 계획을 세웠다는 첩보를 입수했다. 이에 서울 서초경찰서는 경찰기동대 1개 부대(60명)를 투입해 경계수위를 높였다.
또한 김 전 회장의 도주 시나리오를 담은 문서도 검찰이 확보해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였으며, 서울고등법원 주변에 경찰을 배치하고 재판부는 김 전 회장에게 수갑을 채운 채 재판을 진행하였다.
실제 탈옥 시도는 없었으나 김 전 회장의 친누나를 도주원조 혐의로 체포하고, 다음 재판일인 11일 오전 10시, 14일 오후 3시20분에는 보다 강화된 경계 조치를 취할 예정이다.
서울남부구치소에 수감 중인 김 전 회장은 탈옥 계획을 세운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검찰 관계자는 "실제 탈옥 시도를 위해 친누나와 사전에 공모한 정황을 미리 파악해 선제적으로 체포했다"며 "검찰 출정 당시 실질적인 탈옥 시도는 없었다"고 설명하였다.
이를 통해 김 전 회장의 탈옥 시도는 세 번째임에도 불구하고 실패로 돌아갔고, 사회적 충격을 일으키는 이런 시도를 끝장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편 수조원 대 피해를 남긴 라임펀드 사건은 몇 년 전 코리아게이트로 알려진 초대형 금융사기 스캔들이다. 당시 여당이었던 더불어민주당 정치인들이 라임펀드와 관련해 정치자금을 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되었으며, 이번 스타모빌리티 사건은 그 중 일부에 불과하다.
환경경찰뉴스 조희경 기자